여름의 폭염과 겨울의 추위는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취약계층에 속하는 분들은 에너지 비용 부담이 더욱 큽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가 바로 에너지 바우처입니다. 이 제도는 에너지 취약계층이 저렴하게 에너지를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에너지 바우처란?
지원 대상
에너지 바우처는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LPG, 등유, 연탄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소득 기준과 세대원의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 및 교육급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소득 기준
2024년 기준으로, 가구 규모별 소득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구 규모 | 생계급여 32% | 의료급여 40% | 주거급여 48% | 교육급여 50% |
|---|---|---|---|---|
| 1인 가구 | 668,534원 | 891,378원 | 1,069,654원 | 1,114,223원 |
| 2인 가구 | 1,104,783원 | 1,473,044원 | 1,730,826원 | 1,841,305원 |
| 3인 가구 | 1,414,397원 | 1,885,863원 | 2,215,889원 | 2,357,329원 |
| 4인 가구 | 1,718,974원 | 2,291,965원 | 2,693,059원 | 2,864,957원 |
| 5인 가구 | 2,008,721원 | 2,678,294원 | 3,146,995원 | 3,347,868원 |
| 6인 가구 | 2,285,511원 | 3,047,348원 | 3,580,633원 | 3,809,185원 |
지원 기간 및 방식
지원 기간
에너지 바우처는 여름과 겨울 두 가지 시즌에 걸쳐 지원됩니다.
– 하절기 바우처: 7월 1일 ~ 9월 30일
– 동절기 바우처: 10월 11일 ~ 5월 25일
지원 방식
지원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요금 차감 방식과 실물카드 방식이 있습니다.
– 요금 차감 방식: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중 하나를 선택해 요금에서 자동 차감됩니다.
– 국민행복카드: 에너지 물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지원 금액
2023년 기준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대 유형 | 하절기 지원금액 | 동절기 지원금액 | 총 지원금액 |
|---|---|---|---|
| 1인 세대 | 31,300원 | 248,200원 | 279,500원 |
| 2인 세대 | 46,400원 | 335,400원 | 381,800원 |
| 3인 세대 | 66,700원 | 455,900원 | 522,600원 |
| 4인 이상 | 95,200원 | 597,500원 | 692,700원 |
2024년의 지원금액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올해 예산이 4배 증가했기 때문에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청 방법
에너지 바우처 신청은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1. 행정복지센터 방문: 주민등록상 거주지 근처의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2.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에너지 바우처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에너지 바우처는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취약계층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질문2: 지원금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지원금은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요금에서 차감되거나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지원금 잔액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잔액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24시간 언제든지 확인 가능합니다.
질문4: 환급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특정 상황에서만 환급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환급되지 않습니다.
질문5: 신청 기간은 언제인가요?
2024년도 신규 신청은 5월부터 가능하며, 지원 내용은 하절기와 동절기로 나뉩니다.
질문6: 올해 에너지 바우처를 받았던 경우 자동으로 신청되나요?
정보 변동이 없다면 작년에 에너지 바우처를 받았던 분들은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이번 여름과 겨울,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통해 보다 따뜻하고 시원한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이전 글: TV 홈쇼핑 방송 상품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