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6일 대전 유성구에서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정부 IT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사건은 리튬이온 배터리 교체 작업 중 발생한 화재로, 국가 전산망의 마비를 초래했습니다.
화재 발생 개요
화재 발생 시점과 장소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 대전 유성구 화암동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화재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IT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요한 시설에서 발생하여, 국가 전산망의 심각한 마비를 초래하게 됩니다.
화재 원인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은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폭발로 추정됩니다. 배터리 교체 작업 중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폭발이 발생했으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측은 배터리의 노후화 문제로 교체를 준비하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피해 범위
인명 피해
화재로 인해 작업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으며, 100여 명의 직원이 대피했습니다.
서비스 중단
5층 전산실에서 96개의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이로 인해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정부24 등의 핵심 서비스가 영향을 받았습니다. 화재와는 관련이 없는 2, 3, 4층 전산실에서도 진화작업으로 인해 전체 전원이 차단되면서 647개 서비스에 업무 지장이 발생했습니다.
대응 조치
초기 대응
화재 발생 직후 119에 신고가 접수되었고, 소방당국이 출동하여 진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101명의 소방관과 31대의 소방차가 투입되어 10시간 이상 소요된 진화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정부의 위기 대응 체계
화재 발생 직후, 행정안전부는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발령하고, 위기상황대응본부를 가동하였습니다. 이후 9월 27일 오전에는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게 됩니다.
서비스 영향
화재로 인한 서비스 마비는 상당히 광범위했습니다. 정부의 주요 민원 서비스인 정부24, 국민신문고, 긴급 서비스인 119 영상신고시스템이 마비되었고, 우체국의 금융 서비스도 중단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었으며, 여러 언론사에 제보가 접수되었습니다.
문제점 분석
구조적 취약성
이번 화재 사건은 국가 전산망의 중앙집중식 운영 체계의 취약성을 드러냈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정부 전산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 곳의 사고가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재해 대비 체계의 허점
광주와 대구에 있는 분원이 화재에 대한 백업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습니다. 화재 발생 후 정부 부처의 서비스가 동시에 중단되면서 이러한 분원의 무용성이 드러났습니다.
반복되는 전산망 마비
2023년 11월 네트워크 장비 이상으로 전산망이 마비된 이후, 불과 2년 만에 유사한 대규모 마비 사태가 재발했습니다. 이는 정부의 전산망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화재로 인한 피해는 어떤 것이 있나요?
화재로 인해 작업자 1명이 부상을 입고, 96개의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의 생활에 큰 불편이 초래되었습니다.
정부의 대응은 어땠나요?
정부는 화재 발생 직후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발령하고, 이후 ‘심각’ 단계로 격상하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습니다. 또한, 긴급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신속한 대응을 지시하였습니다.
향후 대책은 무엇인가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국가 전산망의 안전 관리 체계와 재해 대비 체계를 재검토하고 개선할 계획입니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 관리에 대한 안전 기준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건은 향후 유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교훈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