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를 읽어보시면 전자문서지갑으로 증명서를 발급하고 제출하는 방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부24 앱의 발급 흐름, 열람·제출 절차, 그리고 대상 증명서 목록의 최신 확대 소식까지 정리했습니다.
전자문서지갑의 기본 개념과 활용 범위
- 전자문서지갑이란 무엇인가
- 스마트폰 안에 저장되는 디지털 문서 보관함으로, 종이 없이 증명서를 관리하고 필요 시 제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모바일 정부24 앱과 연계되어 발급·열람·제출이 가능합니다.
- 신분확인과 함께 주민등록등본, 초본 같은 기본 증명서부터 시작해 다양한 공적 문서를 안전하게 보관합니다.
- 주요 활용 포인트와 이점
-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증명서를 발급하고 제출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합니다.
- 문서 열람과 보관이 모두 모바일에서 가능하며, 필요 시 즉시 제출할 수 있어 민원 처리가 빠릅니다.
- 종이문서의 분실 위험이 줄고, 제3자 전달 과정의 보안도 강화됩니다.
발급 가능 증명서의 확대 현황과 전망
- 발급 항목의 확대 이력
- 2019년 12월 18일: 주민등록등본, 초본 등 소수 증명서로 시작
- 2020년 2월 14일: 12종으로 확대
- 2020년 하반기: 87종이 추가되어 누적 100종 달성
- 2021년까지: 총 300종으로 확대 예정
- 앞으로의 기대 효과
- 주요 민원포털(홈택스, 국민건강보험공단, 금융기관 등)과의 연계가 강화되어 전자문서지갑 이용이 광범위해질 전망입니다.
- 모바일만으로 대부분의 생활 증빙을 처리할 수 있어 급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표로 보는 확대 현황
시점 | 발급 항목 수 | |
---|---|---|
2019.12.18 | 2종 | 초기 서비스 시작 |
2020.02.14 | 12종 | 다양 증명서 추가 |
2020년 하반기 | 100종(누적) | 87종 추가, 연계 계획 |
2021년 이후 | 300종 확대 | 민원포털 연계 확대 중 |
정부24 앱으로 시작하는 발급 절차
- 발급 준비와 회원가입
- 정부24 앱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합니다. 이후 증명서 발급 화면에서 전자문서지갑을 통한 온라인발급 옵션을 선택합니다.
- 필요한 경우 본인 인증 수단을 추가로 확인합니다.
- 발급 대상 증명서를 선택하고 온라인발급(전자문서지갑) 방식을 선택한 뒤 민원신청하기를 누릅니다.
- 온라인발급 옵션으로의 전환 방법
- 증명서를 선택한 뒤 수령방법에서 온라인발급(전자문서지갑)을 선택합니다.
- 발급처를 지정하고 제출 버튼을 눌러 발급을 완료합니다.
- 발급 완료 후 즉시 내증명서 목록에서 열람 가능하며, 필요 시 제출도 가능합니다.
발급 문서 열람·제출·전송 관리
- 열람하기 방법
- 내증명서 메뉴로 이동한 뒤 확인하고 열람합니다. 필요 시 닫기로 종료합니다.
- 증명서 제출 방법
- 제출할 증명서를 선택하고 보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제출처를 선택한 뒤 재차 보내기로 제출이 완료됩니다.
- 제출 내역 확인 및 관리
- 보낸문서 메뉴에서 각 문서의 송달 상태를 확인하고 상세정보를 확인합니다.
- 발급한 증명서의 보관과 다운로드
- 받은증명서 메뉴에서 필요한 문서를 선택해 상세정보를 확인하고 다운로드합니다.
- 실전 체크리스트
-
온라인발급 가능 여부 확인, 본인 인증 준비, 필요한 증명서 목록 사전 점검, 발급 후 즉시 열람·제출 가능 여부 확인
-
전자문서지갑의 보안성은 어떻게 되나요?
- 기기 보호를 기본으로 한 로그인과 2차 인증 등 보안수단이 적용되며, 공인된 서버에서 암호화된 방식으로 저장됩니다.
- 어떤 증명서가 현재 발급 가능합니까?
- 초기 2종에서 시작해 현재는 다수의 증명서가 지원되며, 2021년까지 대폭 확대될 예정입니다. 최신 목록은 정부24 앱 내 공지에서 확인합니다.
- 온라인발급과 종이발급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온라인발급은 스마트폰에서 바로 열람·제출이 가능하고, 종이는 직접 방문이나 우편으로 발송하는 방식으로 처리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기기가 없으면 이용이 불가한가요?
- 기본적으로 모바일 중심 서비스이지만, 필요 시 다른 발급 방법과 대안을 함께 안내받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