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확인서 양식 및 발급요청서 안내



이직확인서 양식 및 발급요청서 안내

이직확인서는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류로, 이직자가 퇴사할 때 사업주에게 요청해야 하는 문서입니다. 2020년 8월 28일부터 이직자는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를 제출하여 이직확인서를 받아야 하며, 이 문서는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의 사실을 증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양식

한글 및 워드, 엑셀 파일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양식은 한글과 워드, 엑셀 파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직자가 직접 작성할 부분과 사업주가 작성해야 하는 부분이 구분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한글: hwp 파일
  •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워드: doc 파일
  •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엑셀: xlsx 파일
  •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PDF: pdf 파일

이 파일들은 한글 기반으로 제작되어 있어 hwp 파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작성 방법

사업주 작성 요령

이직확인서에 대한 작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항목을 정확히 기입해야 합니다.

  1. 구분 코드: 이직 사유를 10자 이상으로 상세히 작성해야 합니다.
  2. 자진퇴사: 개인 사정, 사업장 이전 등
  3. 회사 사정: 폐업, 경영상 필요 등
  4. 정년 또는 계약 만료
  5. 기타 사유: 고용보험 비적용 등

  6. 이직일 기재: 이직자의 이직일이 포함된 월의 1일부터 이직일까지의 기간을 작성합니다.

  7. 실제 보수 지급 기간: 보수가 지급된 날짜를 모두 합산하여 기입하며, 유급휴일과 유급휴가는 포함됩니다.

  8. 기본급 및 기타 수당: 지급된 기본급과 기본급 외의 수당을 적습니다.

  9. 이직 확인서 제출: 사업주는 요청서를 받고 10일 이내에 고용센터에 제출해야 하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참고 사항

  • 고용보험법 개정으로 인해 이직확인서 제출 기관이 근로복지공단에서 고용노동부 고용복지플러스센터로 변경되었습니다. 관련 문의는 고용보험 홈페이지나 고용노동부 콜센터를 통해 가능합니다.
  • 이직확인서를 온라인으로 제출할 경우,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프라인으로 작성한 후 팩스를 통해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이직확인서는 언제 제출해야 하나요?

답변: 이직자는 퇴사 후 10일 이내에 이직확인서를 고용센터에 제출해야 합니다.

질문2: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답변: 이직자의 기본 정보와 이직 사유를 포함하여 상세히 작성해야 하며, 사업주가 확인 후 제출합니다.

질문3: 이직확인서를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나요?

답변: 네,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제출이 가능합니다.

질문4: 이직확인서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모든 정보를 정확히 기입하고, 기한 내에 제출해야 과태료를 피할 수 있습니다.

질문5: 이직확인서 양식은 어디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나요?

답변: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에서 정보공개 메뉴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양식은 이직 후 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필수 서류이므로, 정확하게 작성하고 제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 글: 기아자동차 출고 기간 조회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