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기준, 다양한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를 통해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래를 읽어보시면, 최근의 투자 현황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최근 투자 유치 현황
주요 스타트업 투자
- 무신사와 KKR이 협력하여 240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 모레는 KT 및 KT클라우드로부터 150억원의 투자를 확보했습니다.
- 스카이플레이는 블록체인 게임 분야에서 10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으며, 센디는 화물운송 관리 플랫폼으로 60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추가 투자 사례
- 브랜드 안전 스타트업 파일러는 55억원을 유치하였고, 아토스터디는 45억원의 추가 투자를 받았습니다.
- AI 기반 리뷰 마케팅 기업 인덴트는 20억원의 추가 투자에 성공했으며, 서비스 로봇 연구 개발 업체 로브로스는 16억원의 시드 투자를 확보했습니다.
성과 및 성장 지표
주요 기업 성과
- 티맵의 가입자 수가 2000만명을 돌파하였습니다.
- 에이블리는 상반기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영업익이 매월 2배 성장하고 있습니다.
- 식스샵은 누적 거래액이 1조원을 초과하였고, 그리팅은 누적 지원자 수가 80만명을 넘었습니다.
기타 성과
- 팀스파르타는 상반기 거래액이 200억원을 넘었고, 클라썸은 서비스 도입 대학 강의 수가 18개월 만에 422% 증가했습니다.
- 와디즈는 상반기 아트 펀딩에서 2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00% 성장했습니다.
최신 출시 및 업데이트
신제품 및 서비스 런칭
- 카카오브레인은 칼로 2.0 기반의 웹 서비스를 공개하였고, 포시마크는 네이버 AI 이미지 검색을 적용한 ‘포시 렌즈’를 런칭했습니다.
- 채널톡과 보이저엑스는 AI 고객 상담 분석 툴인 ‘VOC 스튜디오’를 출시하였습니다.
기술 및 서비스 업그레이드
- 아임웹은 CRM 기능을 출시하여 고객 행동 데이터 기반의 마케팅을 지원합니다.
- 배민은 앱 스플래시 화면에 광고를 추가하여 새로운 수익 모델을 도입하였습니다.
정책 및 지원 동향
정부 및 기관의 지원
- 한국벤처투자는 1300억원 규모의 지역 혁신 펀드 GP를 선정하여 착수하였습니다.
- 중기부는 양자컴퓨팅 분야 글로벌 협업 참여 기업을 모집하고 있으며, 콘진원은 K-콘텐츠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오디션을 개최합니다.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 네이버는 기술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AI RUSH 2023’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는 인공지능 행정팀을 신설하고, 로봇 친화 도시 조성에 2029억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최신 투자 유치 현황은 무엇인가요?
A1: 최근 무신사와 KKR이 240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하였고, 여러 스타트업들이 다양한 규모의 투자를 받고 있습니다.
Q2: 주요 기업의 성장은 어떤가요?
A2: 티맵은 가입자 수 2000만명을 돌파하였고, 에이블리는 영업익이 매월 2배 성장하는 등 실적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Q3: 어떤 신제품이 출시되었나요?
A3: 카카오브레인은 칼로 2.0 기반 웹 서비스를 공개하였고, 포시마크는 AI 이미지 검색을 적용한 서비스를 런칭했습니다.
Q4: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정책은 무엇인가요?
A4: 한국벤처투자는 지역 혁신 펀드를 통해 스타트업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며, 중기부는 글로벌 협업 참여 기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Q5: 스타트업 투자 유치는 언제까지 진행되나요?
A5: 투자 유치는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각 스타트업의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으니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6: 스타트업의 성과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A6: 스타트업의 실적은 각 기업의 공식 홈페이지나 투자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