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으로 우분투 부팅 USB 만들기



맥북으로 우분투 부팅 USB 만들기

우분투를 서버 컴퓨터에 설치하기 위해 맥북에서 우분투 부팅 USB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터미널을 사용하여 직접 이미지 파일을 USB에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USB 포맷하기

먼저 USB 드라이브를 포맷해야 합니다. 우분투의 용량이 4GB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포맷 유형으로는 MS-DOS(FAT32)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에 MAC OS Extended 형식으로 포맷했다가 실행 오류가 발생한 경험이 있어, FAT32로 포맷 후에는 성공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졌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우분투 설치 파일 다운로드

우분투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서버용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다운로드 링크
파일은 ISO 형식으로 다운로드됩니다.

터미널에서 파일 위치로 이동

맥북의 터미널을 열고, 다운로드한 우분투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ubuntu-usb라는 폴더에 다운로드했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cd ~/Downloads/ubuntu-usb

ISO 파일 USB 드라이브로 변환하기

이제 ISO 파일을 USB 드라이브로 변환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ISO 파일을 UDRW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bash
hdiutil convert -format UDRW -o ubuntu.iso ubuntu-24.04-live-server-amd64.iso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ubuntu.iso.dmg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

파일 확장자 변경하기

USB 드라이브로 변환한 파일은 .dmg 확장자로 되어 있습니다. 이를 다시 .iso로 변경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mv ubuntu.iso.dmg ubuntu.iso

이제 최종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USB 드라이브 연결하기

USB 드라이브를 맥북에 연결하기 전에 현재 연결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diskutil list

현재 /dev/disk0과 /dev/disk3이 사용 중인 상태입니다. USB를 연결한 후 다시 diskutil list를 입력하면 /dev/disk4와 같은 새로운 디스크가 나타납니다.

USB 언마운트하기

USB에 ISO 파일을 쓰기 전에 반드시 언마운트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USB를 언마운트합니다.

bash
diskutil unmountDisk /dev/disk4

언마운트하지 않고 dd 명령어를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SB에 ISO 이미지 파일 쓰기

USB가 언마운트되었다면, 이제 ISO 파일을 USB에 쓰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sudo dd if=./ubuntu.iso of=/dev/disk4 bs=1m

이 과정은 약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완료 메시지가 뜨기 전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마무리 작업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diskutil list를 통해 USB 디스크의 파티션 구조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로 USB를 안전하게 제거합니다.

bash
diskutil eject /dev/disk4

이로써 우분투 부팅 USB가 완성되었습니다!

USB 포맷하기

우분투 USB를 다시 만들고자 할 경우, USB를 초기화해야 합니다. USB가 5.2MB로 인식되고 일반적인 erase 옵션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MBR(Master Boot Record) 옵션으로 포맷합니다.

bash
diskutil eraseDisk FAT32 USB MBR /dev/disk4

이로써 USB 포맷 작업이 완료됩니다.

이상으로 맥북을 이용한 우분투 부팅 USB 만드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전 글: HUG 전세보증보험 가입 조건 및 비용 안내